기타/Git

[1일차] Do it! 지옥에서 온 문서 관리자 깃&깃허브 입문 / 1장, 2장

yujindonut 2021. 2. 1. 03:28
728x90

01-02. 깃 시작하기

 

- git-scm.com/ 들어가서 설치!

 

 

Git

 

git-scm.com

download 2.30.0 for windows 이거 누르면 바로 깔린다!

다른거는 다 기본으로 설정하고 이것만 use Window's default console window를 눌렀다

작업 표시줄 검색창에 git 검색 후 Git Bash 누르기

 

git 입력후 

 

제대로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!

01-03. 리눅스 명령어

- 디렉터리 

~ : home directory안에 있다는 의미

pwd : 현재 위치의 경로를 알려준다

ls : 현재 디렉토리에 어떤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

ls -a : 숨김 파일과 디렉토리도 함께 표시된다

ls -l :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상세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.

ls -r : 파일의 정렬 순서를 거꾸로 표시한다.

ls -t : 파일 작성 시간 순으로 (내림차순)으로 표시한다.

 

- 디렉터리 이동

cd.. :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(change directory)

cd [디렉토리이름] : [디렉토리이름]으로 이동

cd ~ : 홈디렉토리로 이동

 

-디렉터리 만들기 및 삭제

mkdir [디렉터리 명]: 현재 디렉터리 안에 하위 디렉터리를 만들때 (make directory)

rm - r [디렉터리명] : 디렉터리 삭제 ( remove) / -r : 디렉터리 안에 있는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 모두 삭제

 

vim 텍스트 문서 만들기

vim [문서명.txt]

-ex 모드 : 저장, 종료 - esc

:w / 편집중이던 문서 저장

:q / 편집기 종료

:wq / 편집 중이던 문서 저장하고 종료

:q! / 문서 저장하지 않고 편집기 종료

-입력모드 : 텍스트 입력, 수정 - l,A 입력 (Insert, Add)

 

텍스트 문서  내용 확인

cat [파일명]

 

 


02. 깃으로 버전 관리하기

02-1. 깃 저장소 만들기

원하는 디렉토리에 git init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한다. 깃을 사용할 수 있도록 디렉토리를 초기화 하는 것!

.git이라는 디렉토리는 깃을 사용하면서 버전이 저장될 저장소(respository)가 된다.

 

 

02-2. 버전 만들기

 

작업트리 - 스테이지 - 저장소

 

작업트리 : 파일 수정, 저장 등의 작업을 하는 작업 디렉토리 ( 눈에 보임)

커밋할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것

스테이지 : 버전으로 만들 파일이 대기하는 곳 (눈에 안보임)

hello.txt가 스테이지에 추가됨
파일이 생성되고 나서 한번도 버전 관리하지 않은 파일인 untracted files가 존재한다! // 새 파일이 스테이지에 있음

저장소 : 스테이지에서 대기하고 있던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 / 리포지토리 (눈에 안보임)

 

스테이지에 있던 파일의 버전이 저장소에 만들어짐

 

한번이라도 커밋한 적이 있는 파일을 스테이징과 커밋 한꺼번에 처리 할 수 있음

02-3 커밋 내용 확인하기

 

$ git diff을 통해 변경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.

초록색이 새로 추가된 부분 / -2는 삭제되었다는 부분

02-4. 버전 만드는 단계마다 파일 상태 알아보기

 

tracked파일 : 한번이라도 커밋을 한 파일의 수정여부를 계속 추적하는 파일

untracked파일 : 한번도 깃 버전 관리를 하지 않아서 수정내용을 추적하지 않는 파일

 

unmodified : 작업트리에 모든 파일의 상태가 unmodified = 수정되지 않은 상태다 / 작업트리에 아무 변경사항이 없다

modified : 파일이 수정되었지만 아직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상태 (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)

staged상태 : 커밋 직전 단계 ( changes to be commited)

커밋 하고 나면 staged -> unmodified상태로 간다

 

02-5. 작업 되돌리기

 

작업트리에서 수정한 파일 되돌릴때 = $ git checkout -- [파일명] // 파일의 수정 취소

 

스테이징 되돌리기 = $ git reset HEAD [파일명] // 파일명이 지정되지 않으면 스테이지에 있는 모든 파일을 되돌린다.

 

최신 커밋 되돌리기  = $ git reset HEAD^ // 가장 마지막에 커밋, 스테이징 취소

 

특정 커밋으로 되돌리기 = $git reset --hard 복사한 커밋 해시(최신커밋으로 바꿀 해시를 붙여야함)

 

커밋 삭제하지 않고 되돌리기 = $ git revert 복사한 커밋 해시// 방금 전의 커밋을 취소하고 직전 커밋으로 되돌아갈때

 

 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