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장. 깃허브로 협업하기 05-1 여러 컴퓨터에서 원격 저장소 함께 사용하기 -git clone : 원격 저장소를 지역 저장소로 똑같이 가져오는 것 $ git clone [복사한 주소] [복제할 디렉터리 이름] : 원격저장소를 복제 $ git remote -v : 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 개인 컴퓨터에서 작업한 파일을 git push를 통해 커밋을 원격 저장소에 올릴 수 있다. 다른 컴퓨터에서 작업하려면 원격 저장소의 새로운 커밋을 가져와야한다! 최신 커밋 가져오기! $ cd ~/git_office ( cd ~ + cd git_office 를 합친 명령) $ git pull 05-2 원격 브랜치 정보 가져오기 fetch : 불러오다, 가져오다 $ git fetch : 원격 저장소의 정보를 가져오는 기능 ,..
4장. 깃허브로 백업하기 내 컴퓨터에서 작업한 곳을 커밋하는 곳! 바로 지역 저장소! 작업 내용이 지역 저장소에만 저장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가 아닌 다른 곳에 저장 공간을 마련해야한다! 04-1 원격 저장소와 깃허브 깃에서는 지역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해서 버전 관리하는 파일들을 쉽게 백업할 수 있다. 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 만든 저장소를 말한다. 원격 저장소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바로 깃허브! 깃허브를 사용하는 이유 원격 저장소에서 깃을 사용할 수 있다. (따로 지역 저장소를 만들지 않아도 깃허브에 원격 저장소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.) 지역 저장소를 백업할 수 있다. 협업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다. 자신의 개발 이력을 남길 수 있다. 다른 사람의 소스..
03. 깃과 브랜치 03-1 브랜치란?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자 master 브랜치 : 최신 커밋 새 브랜치 : 기존에 저장한 파일을 master 브랜치에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존 파일 내용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파일 '분기한다' : master 브랜치에서 뻗어 나오는 새 브랜치를 만드는 것 '병합한다' : 분기했던 브랜치를 master브랜치에 합치는 것 03-2 브랜치 만들기 $git branch / $git branch [브랜치 이름] : 브랜치를 확인하거나 만들때 사용하는 명령 브랜치는 만들어지면서 master의 최근 커밋을 가져온다 저장소에 master, apple 2개의 브랜치가 존재한다 head->master이므로 현재 작업중인 브랜치는 master브랜치 라는 의..
01-02. 깃 시작하기 - git-scm.com/ 들어가서 설치! Git git-scm.com download 2.30.0 for windows 이거 누르면 바로 깔린다! 다른거는 다 기본으로 설정하고 이것만 use Window's default console window를 눌렀다 작업 표시줄 검색창에 git 검색 후 Git Bash 누르기 git 입력후 01-03. 리눅스 명령어 - 디렉터리 ~ : home directory안에 있다는 의미 pwd : 현재 위치의 경로를 알려준다 ls : 현재 디렉토리에 어떤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 ls -a : 숨김 파일과 디렉토리도 함께 표시된다 ls -l :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상세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. ls -r : 파일의 정렬 순서를 거꾸로 표시한..